맨위로가기

팔라다 (방호순양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라다 (방호순양함)은 1890년대 말 러시아 해군이 극동 지역 전력 강화를 위해 건조한 팔라다급 방호순양함 중 하나이다. 1901년 러시아 해군에 인도되어 발트 함대에 편입되었으며, 1902년 극동으로 이동하여 러일 전쟁에 참전했다. 1904년 뤼순 항에서 일본군의 공격을 받아 손상되었고, 황해 해전에 참가했으나 뤼순 항에 갇혔다. 이후 육상 방어 강화에 사용되다 12월 일본군의 포격으로 침몰했다. 1905년 일본 해군에 노획되어 '쓰가루'로 개명되었고, 훈련함, 부설함으로 사용되다 1924년 자침 처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제국 해군의 순양함 - 바랴크 (방호순양함)
    바랴크는 1901년 러시아 제국 해군에 취역한 방호순양함으로, 러일 전쟁 중 제물포 해전에서 자침되었고, 이후 일본 해군에서 운용되다 러시아에 재구매되었지만, 스코틀랜드 해안에서 좌초되어 해체되었다.
  • 러시아 제국 해군의 순양함 - 노비크 (방호순양함)
    노비크는 러시아 제국 해군의 2등 방호순양함으로, 빠른 속력을 자랑하며 러일 전쟁에 참전했다가 일본 해군에 인양되어 스즈야로 개명 후 통보함으로 활용, 퇴역했다.
  • 1899년 선박 - 아사히 (전함)
    아사히는 일본 제국 해군이 해군력 강화를 위해 영국에 발주한 전함으로, 러일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며 해방함, 연습 특무함, 잠수함 구조함, 공작함 등으로 용도가 변경되어 중일 전쟁에 투입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침몰했다.
  • 1899년 선박 - 바랴크 (방호순양함)
    바랴크는 1901년 러시아 제국 해군에 취역한 방호순양함으로, 러일 전쟁 중 제물포 해전에서 자침되었고, 이후 일본 해군에서 운용되다 러시아에 재구매되었지만, 스코틀랜드 해안에서 좌초되어 해체되었다.
  • 일본 제국의 해군 함정 - 다카치호 (방호순양함)
    다카치호는 일본 제국 해군의 방호순양함으로, 자매함 나니와와 함께 당시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순양함으로 평가받았으며 청일전쟁, 러일전쟁,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나 칭다오 공략전 후 독일 해군의 어뢰 공격으로 침몰하여 일본 해군 군함 중 최초로 교전 중 격침된 함선이 되었다.
  • 일본 제국의 해군 함정 - 이쓰쿠시마 (방호순양함)
    이쓰쿠시마는 1891년 일본 제국 해군에 인도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1912년 2등해방함으로 분류가 변경된 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다 1926년 해체되었다.
팔라다 (방호순양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팔라다
팔라다, 1903년경
함명팔라다
함명 유래팔라스
건조 국가러시아 제국
건조 조선소상트페테르부르크 아드미랄티 조선소
기공1895년 12월 1일
진수1899년 8월
최후1904년 12월 8일 침몰
일본 정보 (노획)
노획 국가일본 제국
함명 (일본어)쓰가루
획득1905년, 전리품으로 획득
퇴역 (일본)1922년
최후 (일본)1924년, 표적함으로 사용
특징
함급팔라다급 방호순양함
추진3축, 3 x 3단 팽창 증기 엔진
동력24 x 벨레빌 보일러,
승무원578명
무장8 × 포
24 × 포
8 × 포
3 × 어뢰 발사관
장갑갑판:
조타실:

2. 건조 배경 및 제원 (팔라다급)

팔라다급 방호순양함은 극동 지역의 러시아 함대 전력 강화를 위해 건조되었다. 1895년 12월에 ''팔라다''와 Диана|디아나ru가 기공되었고, 1897년 6월에는 Аврора|아브로라ru가 기공되었다. ''팔라다''는 1899년 8월에, ''디아나''는 1899년 10월에, ''아브로라''는 1900년 5월에 각각 진수되었다. 1902년 준공된[12] ''팔라다''와 ''디아나''는 만주 포트 아서에 주둔한 러시아 제1 태평양 전대에 배속되었다.

3. 러시아 해군 소속 팔라다

1901년 11월 2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가레루누이 · 오스토로보쿠 조선소 (현재 아드미럴티 조선소)에서 건조되어 발트 함대에 편입되었고, 1903년 5월 뤼순 항에 도착하여 태평양 함대에 소속되었다.

1902년 11월 13일 전함 레트비잔, 포베다, 순양함 다이아나, 보가티리와 함께 리바바에서 극동으로 출발, 1903년 5월 4일 "팔라다"는 "레트비잔"과 함께 뤼순에 도착했다.[14] (또는 5월 5일 아침 뤼순 근처 정박[15])

3. 1. 러일 전쟁

1904년 2월 6일, 러일 전쟁이 시작되었다. 개전 초, 뤼순 항 바깥에 정박해 있던 팔라다는 일본 구축함의 기습 공격을 받았다. 가스미로 추정되는 구축함이 발사한 어뢰가 좌현 중앙부에 명중하여[16] 석탄고에서 화재가 발생했지만, 침수로 진화되어 큰 피해는 없었다.[17][18][19] 이 공격으로 승조원 2명이 사망했다.[20]

''팔라다''의 어뢰 공격 (예술가의 상상도)


8월 10일, 팔라다는 황해 해전에 참가했다.[5] 그러나 다른 러시아 순양함들과 함께 일본 함대의 봉쇄를 뚫지 못하고 뤼순 항으로 돌아왔다. 이후 팔라다는 항구에 갇혔고, 함포는 육상 방어를 위해 제거되었으며, 승무원 대부분은 보병으로 재배치되었다.

12월 9일, 뤼순 항에 정박해 있던 중 일본 육군의 포격을 받고 침몰했다.[5] 12월 7일 11인치 포탄 4발을 맞고 좌현 탄약고가 관통되어 침수되면서 함선의 대부분이 물에 잠겼다.[28]

4. 일본 해군 소속 쓰가루

1905년 1월 1일, 뤼순 요새 함락으로 뤼순항을 점령한 일본군에 의해 팔라다가 나포되었다.[5] 일본 해군은 7월 4일 팔라다 부양 작업에 착수하여,[29][30] 8월 12일에 부양에 성공하였다.[30][31] 8월 22일, 일본 제국 해군에 편입되어 쓰가루 해협에서 이름을 딴 '''쓰가루'''로 명명되고, 2등 순양함으로 분류되어 사세보 진수부 소속이 되었다.[7][8][33][34] 메이지 천황에게 주청한 후보 함명에는 '하코다테', '하루코마', '나코소'도 있었다.[9]

1906년 6월 25일, 쓰가루는 친젠에 예인되어 구축함 유구레의 호위를 받으며 뤼순을 출발하여,[29][35] 6월 29일 사세보에 도착했다.[29][35]

포트 아서에서 침몰한 ''팔라다''

4. 1. 운용

1908년 수리가 완료된 후, 주로 기관 기술 훈련함으로 사용되었다.[29][35]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다.[36][37] 1915년부터 1918년까지 대대적인 개보수 공사를 거쳐 부설함으로 개조되었다.[36][37] 1920년 4월 1일 부설함으로 함종이 변경되었다.[36][37]

4. 2. 퇴역 및 최후

1922년 4월 1일 함적에서 제적되어 잡역선으로 분류되었다.[1] 1924년 5월 27일 폐선 후 사루시마 부근에서 격침 처분되었다.[1]

쓰가루 함체 인양을 둘러싸고 '쓰가루 의혹 사건'이라는 뇌물 스캔들이 발생했다는 내용은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어 생략한다.

5. 동형함


  • 디아나
  • 아브로라

6. 평가 및 의의

팔라다는 러일 전쟁에서 러시아 해군의 주력함 중 하나였으나, 일본 해군의 우세로 인해 큰 활약을 하지 못하고 격침되었다.[1] 이후 일본 해군에 노획된 팔라다는 '쓰가루'로 이름이 바뀌어 훈련함 및 부설함으로 운용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는 등 러시아와 일본 양국 해군에서 모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 팔라다/쓰가루의 역사는 당시 열강들의 제국주의적 팽창 경쟁과 동아시아에서의 세력 다툼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한국의 입장에서 팔라다/쓰가루의 노획 및 운용은 일본의 군사력 강화와 한반도 침략의 역사적 맥락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904년 2월 6일 러일 전쟁이 발발했고, 12월 9일 여순항에 정박 중이던 팔라다는 일본 육군의 포격으로 침몰했다.[1] 1905년 1월 1일 여순항을 점령한 일본군은 팔라다를 포획했다.[1] 이후 일본은 팔라다를 인양하여 '쓰가루'로 개명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시키는 등 자국의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했다.[1] 이는 일본의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과 그 과정에서 한국이 겪어야 했던 역사적 아픔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世界の艦船 増刊第47集
[2] 서적 世界歴史大系 ロシア史2 山川出版社 1997
[3] 문서 旅順沈没巡洋艦パルラダ(津輕) THE CRUISER"Pallada(Tsugaru)"THE SUNKEN WARSHIP.(圖は艦の最上甲板左舷前部にして、艦橋下を透して見ゆる陸上の建築物に對照すれば、如何に本艦の右舷に傾きあるやを知るべし。)
[4] 서적 ロシアの20世紀 東洋書店 2007
[5] 문서 津輕(つがる) 艦種二等巡洋艦 二檣(信號用) 艦名考海峡名なり、津輕海峡に採る。艦歴舊露國軍艦、原名「パルラダ」、明治32年露國「グレルヌイ」島海軍工廠にて進水。同37年2月日露戰役の劈頭、我が驅逐隊襲撃に於て先づ傷き、後ち8月10日の海戰に参加、其の後旅順港内に破壊沈没、同38年1月1日(旅順の露軍降伏開城の日之が収容引揚に着手、同年8月22日帝國軍艦と定め「津輕」と命名。大正9年敷設艦に編入。同11年4月1日除籍。 ―要目― 長 416呎/幅 55呎/喫水 21.0呎/排水量 6,630噸/機關 横置三汽筒三聯成汽罐3基、ベルビル罐24臺/馬力 11,600/速力 20/乗組人員 532/船材 鋼(シーズド式)/兵装 15栂砲8 8栂砲12 機砲2 發射管3|起工 明治29/進水 同32-8-28/竣工 同35|建造所 露國グレルヌイ海軍工廠
[6] 문서 旅順口港内沈没戰利軍艦破損箇所詳細圖 貳等巡洋艦津輕(「パルラーダ」)
[7] 문서 戰利軍艦相摸肥前命名ノ件 1940
[8] 문서 明治三十八年八月二十七日(達一一四)軍艦及水雷艇類別等級表中戰艦ノ欄一等ノ下「石見」ノ次ニ「相摸、丹後」ヲ、巡洋艦ノ欄一等ノ下「日進」ノ次ニ「阿蘇」ヲ、同二等ノ下「千歳」ノ次ニ「津輕、宗谷」ヲ加フ 1940
[9] 문서 二等巡洋艦パルラダ 津輕 函舘、春駒、勿来
[10] 문서 グレゴリオ暦、以下同じ
[11] 서적 Cruisers of the 1st Rank: Avrora Diana Pallada
[12] 서적 The Imperial Russian Navy
[13] 문서 第九章津輕(元「パルヲーダ」)引揚及ヒ回航 第一節 損害程度及ヒ沈没原因
[14] 서적 The Retvizan
[15] 서적 Cruisers of the 1st Rank: Avrora Diana Pallada
[16]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17]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18] 서적 Cruisers of the 1st Rank: Avrora Diana Pallada
[19] 서적 Cruisers of the 1st Rank: Avrora Diana Pallada
[20] 서적 Cruisers of the 1st Rank: Avrora Diana Pallada
[21] 서적 Cruisers of the 1st Rank: Avrora Diana Pallada
[22]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23]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24]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25] 서적 Cruisers of the 1st Rank: Avrora Diana Pallada
[26] 서적 Cruisers of the 1st Rank: Avrora Diana Pallada
[27]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28]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29] 문서 六、巡洋艦「パルヲーダ」(排水量六,六三〇噸、三十八年七月四日大連灣防備隊引揚箸手、翌八月十二日浮揚、同月二十二日津輕ト命名セラル三十九年六月二十五日旅順口發、同二十九日佐世保箸、囘航委員長ハ海軍中佐山口九十郎、曳航艦ハ鎭遠、通信艦ハ驅逐艦夕暮ナリ)
[30] 문서 第二節 引揚作業
[31] 간행물 明治38年8月14日官報第6637号 https://dl.ndl.go.jp[...] 1905-08-14
[32] 문서 第五節 令達
[33] 간행물 明治38年 達 完/8月
[34] 간행물 明治38年 達 完/8月
[35] 문서 第四節 内地ヘ囘航
[36]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37] 간행물 大正9年 達 完/9月 p.1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8] 문서 達大正11年4月(1)
[39]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40] 문서 達大正11年4月(1)
[41] 간행물 大正11年4月1日(土)海軍公報(部内限)第六百十號 p.1 https://www.jacar.ar[...]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2] 문서 津軽処分
[43] 문서 写真及活動写真(5)
[44] 뉴스 官報 1917-12-03
[45] 뉴스 官報 1918-07-24
[46] 뉴스 官報 1918-12-03
[47] 뉴스 官報 1919-11-21
[48] 뉴스 官報 1919-12-02
[49] 뉴스 官報 1920-07-28
[50] 뉴스 官報 1921-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